■ 동기식 전송 (Synchronous Transmission)
동기식 전송이란, 여러 문자를 '블록 단위'로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많은 양을 전송하기에 '버퍼 장치'가 필요하며 대부분의 통신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2,400bps 이상의 고속 전송에서 사용하고, 위상편이변조(PSK)를 사용하며, 문자 동기 방식과 비트 동기 방식으로 구분 합니다.
① 문자 동기 방식 ; 문자를 이용하여 동기화 하는 방식으로, 제어문자를 사용해 데이터 블록의 시작과 끝을 구분합니다.
② 비트 동기 방식 ; 데이터 블록의 종단부분에 플래그(Flag) 혹은 특수 비트를 전송해 동기를 맞추는 방식입니다.
■ 비동기식 전송 (Asynchronous Transmission)
비동기식 전송이란, 한 문자 단위(5~8bit)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스타트 비트와 스톱 비트를 삽입해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스타트-스톱 전송이라고도 부르며 각 문자 사이에 유휴 시간이 있을 수 있습니다.
2,000bps 이하의 낮은 전송에서 사용하고, 주파수편이변조(FSK)를 사용합니다.
■ 동기식 전송 , 비동기식 전송 차이점 표
구분 | 동기식 전송 | 비동기식 전송 |
전송효율 | 높음 | (스타트/스탑 비트를 사용하기에) 낮음 |
전송단위 | 블록(Block) | 비트(5~8) |
사용 변조방식 | 위상편이(PSK) | 주파수편이(FSK) |
전송속도 | 2,400bps 이상의 고속전송 | 2,000bps 이하의 저속 전송 |
'Certificate > 정보처리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능사] 통신속도의 단위 BPS와 Baud(보)의 관계 (feat. 관련 문제) (0) | 2021.01.27 |
---|---|
[정보처리기능사] 에러 검출 부호 방식(패리티(Parity)검사/블록합(BSC)검사/순환잉여검사(CRC))정리 (0) | 2021.01.26 |
[정보처리기능사]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 내용 요약 정리 (0) | 2021.01.26 |
[정보처리기능사] 에러 복구기법; 자동 재전송 방식(ARQ; Automatic Repeat reQuest)과 해밍코드(Hamming Code) (0) | 2021.01.25 |
[논리회로] 조합 논리회로 종류 정리 (반가산기HA/전가산기FA/디코더/인코디(부호기)/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 (0) | 2021.0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