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ertificate/정보처리기능사17

[정보처리기능사] 주기억 장치 ROM & RAM 차이점 정리 주기억 장치(Main Memory Unit) 컴퓨터 내부에 위치하는 기억장치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합니다. 메인 메모리(Main Memory) 혹은 인터널 메모리(Internal Memory) 라고도 부릅니다. 1) ROM (Read Only Memory) 기억된 내용을 읽기만 가능한 장치로, 전원의 공급이 끊어져도 그 내용을 기억하는, 비휘발성 기억장치 입니다. [ROM 종류] Mask ROM : 제조 회사에서 제작할 때 기록하는 기억장치로, 내용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PROM(Programmable ROM) : 한 번에 한해서만 직접 정보를 기록 가능하지만, 한 번 정보가 기록되면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EPROM(Erassable PROM) : 기억된 자료를 자외선을 이용하여 삭제/기록이 가능.. 2021. 1. 27.
[정보처리기능사] 통신속도의 단위 BPS와 Baud(보)의 관계 (feat. 관련 문제) ■ BPS와 Baud의 정의 통신속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2가지가 있는데, 바로 BPS(Bit Per Second)와, Baud(보) 입니다. BPS란, 1초당 전송되는 비트의 수이며, Baud는 1초당 전송되는 최단 펄스(Pulse)의 수로 초당 신호 변화의 개수를 의미하는 변조 속도 단위 입니다. 따라서 4,800bps는 초당 4800개의 비트를 보낼 수 있습니다. *펄스(Pulse) : 극히 짧은 시간만 흐르는 전류 ■ BPS와 Baud의 관계 *위상(Phase) : n가지 모양이 나올 수 있는 비트의 수를 의미합니다. (1비트는 0or1 2가지 모양이 나올 수 있기에, 2위상이고 2비트는 00or01or10or11 4가지 모양이 나올 수 있기에, 4위상입니다.) 한 비트가 하나의 신호를 표현하는 단.. 2021. 1. 27.
[정보처리기능사] 에러 검출 부호 방식(패리티(Parity)검사/블록합(BSC)검사/순환잉여검사(CRC))정리 omyodevelop.tistory.com/99?category=838888 [정보처리기능사] 동기식 전송과 비동기식 전송 (Synchronous & Asynchronous Transmission) 내용 정리 ■ 동기식 전송 (Synchronous Transmission) 동기식 전송이란, 여러 문자를 '블록 단위'로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많은 양을 전송하기에 '버퍼 장치'가 필요하며 대부분의 통신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방 omyodevelop.tistory.com 동기식 전송과 비동기식 전송에 대한 글을 읽고 오시면, 이해하기 더욱 수월하실거예요! ■ 패리티 (Parity) 검사 패리티 검사란, 한 블록의 데이터 끝에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에러를 검출하는 방식입니다. (단, 오류와 정정이 모두 가능한.. 2021. 1. 26.
[정보처리기능사] 동기식 전송과 비동기식 전송 (Synchronous & Asynchronous Transmission) 내용 정리 ■ 동기식 전송 (Synchronous Transmission) 동기식 전송이란, 여러 문자를 '블록 단위'로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많은 양을 전송하기에 '버퍼 장치'가 필요하며 대부분의 통신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2,400bps 이상의 고속 전송에서 사용하고, 위상편이변조(PSK)를 사용하며, 문자 동기 방식과 비트 동기 방식으로 구분 합니다. ① 문자 동기 방식 ; 문자를 이용하여 동기화 하는 방식으로, 제어문자를 사용해 데이터 블록의 시작과 끝을 구분합니다. ② 비트 동기 방식 ; 데이터 블록의 종단부분에 플래그(Flag) 혹은 특수 비트를 전송해 동기를 맞추는 방식입니다. ■ 비동기식 전송 (Asynchronous Transmission) 비동기식 전송이란, 한 문자 단위(5~8bit.. 2021. 1. 26.
[정보처리기능사]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 내용 요약 정리 ■ OSI 7계층이란? OSI 7계층은 Open System Interconnection의 약자로, 1977년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로, 서로 다른 컴퓨터나, 정보 통신 시스템들 간에 원활하게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계층을 나누어 설명한 표준화된 절차입니다. 각 계층은 하위 계층의 기능만을 이용하고, 상위 계층에게 기능을 제공하며, 일반적으로 하위 계층들은 하드웨어, 상위 계층들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있습니다. ■ OSI 7계층의 목적 OSI 7계층을 정의한 이유는 시스템 간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보다 이해하기 쉽고, 정확하게 파악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케이블에 문제가 생겼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러면 다른 계층은 확인할 필요 없이, 케이블이 포함된 제 1계층인 물리 계.. 2021. 1. 26.
[정보처리기능사] 에러 복구기법; 자동 재전송 방식(ARQ; Automatic Repeat reQuest)과 해밍코드(Hamming Code) * 2021 정보처리기능사 필기 과목 시험대비를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제1과목 정보통신의 에러 복구기법에 관하여 최소한 알아 두어야 할 개념을 기록해 두었습니다. 개인적인 자격증 공부 기록용으로 작성한 글이기에,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자동 재전송 방식 (ARQ) ARQ란, 에러 검출 후 송신측에게 에러가 발생한 데이터 블록을 재전송 하도록 요청하여 에러를 정정하는 방식입니다. ① 정지&대기 ARQ (Stop&Wait ARQ) 송신측이 한 블록을 전송하면, 수신측에서 ACK나 NAK 신호를 보내올 때 까지 기다리는 방식입니다. 송신측이 ACK(정상/긍정) 신호를 받으면 다음 블록을 송신하고, NAK(에러/부정) 신호를 받으면 이전에 송신했던 블록을 재전송합니다. ② 연속적 ARQ Go-B.. 2021. 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