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PS와 Baud의 정의
통신속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2가지가 있는데, 바로 BPS(Bit Per Second)와, Baud(보) 입니다.
BPS란, 1초당 전송되는 비트의 수이며, Baud는 1초당 전송되는 최단 펄스(Pulse)의 수로 초당 신호 변화의 개수를 의미하는 변조 속도 단위 입니다. 따라서 4,800bps는 초당 4800개의 비트를 보낼 수 있습니다.
*펄스(Pulse) : 극히 짧은 시간만 흐르는 전류
■ BPS와 Baud의 관계
*위상(Phase) : n가지 모양이 나올 수 있는 비트의 수를 의미합니다. (1비트는 0or1 2가지 모양이 나올 수 있기에, 2위상이고 2비트는 00or01or10or11 4가지 모양이 나올 수 있기에, 4위상입니다.)
한 비트가 하나의 신호를 표현하는 단위(Baud)로 쓰이는 경우 BPS와 Baud의 속도는 같으며, n개의 비트가 하나의 신호를 표현하는 단위(Baud)로 쓰이는 경우, Baud의 속도는 Bps의 속도에 1/n이 됩니다.
1비트(One Bit = 2위상)가 한 신호 단위인 케이스 : BPS = Baud
한 비트가 하나의 신호를 표현하는 단위로 쓰였기에, BPS와 Baud의 속도는 동일합니다.
2비트(DiBit = 4위상)가 한 신호 단위인 케이스 : BPS = Baud X 2
2개의 비트가 하나의 신호를 표현하는 단위로 쓰였기에, Baud의 속도는 Bps 속도의 1/2가 됩니다.
3비트(TriBit = 8위상)가 한 신호 단위인 케이스 : BPS = Baud X 3
3개의 비트가 하나의 신호를 표현하는 단위로 쓰였기에, Baud의 속도는 Bps 속도의 1/3가 됩니다.
4비트(QuadBit = 16위상)가 한 신호 단위인 케이스 : BPS = Baud X 4
4개의 비트가 하나의 신호를 표현하는 단위로 쓰였기에, Baud의 속도는 Bps 속도의 1/4가 됩니다.
■ 관련 문제 풀이
Q1) 4위상 변조를 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신호의 전송 속도가 60보(Baud)라 할 때, 이것을 BPS 속도로 나타내면 얼마인가?
A) 4위상은 4가지 모양이 나올 수 있는 비트 수 이기에, 2비트 입니다. 따라서 2비트가 한 신호 단위인 케이스에 속하기에, BPS = 60 X 2 = 120BPS가 됩니다.
Q2) 위상 변조를 하는 동기식 변/복조기의 변조속도가 1200보(Baud)고, 디비트(Dibit)를 사용하면 통신속도(BPS)는 얼마인가?
A) 디비트(Dibit)를 사용한다 하였기에, 2비트가 한 신호 단위인 케이스에 속합니다. 따라서 BPS = 1200 X 2 = 2400BPS가 됩니다.
Q3) 정보 통신에서 1초에 전송되는 비트의 수를 나타내는 전송 속도 단위는?
A) BPS
'Certificate > 정보처리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능사] 주기억 장치 ROM & RAM 차이점 정리 (0) | 2021.01.27 |
---|---|
[정보처리기능사] 에러 검출 부호 방식(패리티(Parity)검사/블록합(BSC)검사/순환잉여검사(CRC))정리 (0) | 2021.01.26 |
[정보처리기능사] 동기식 전송과 비동기식 전송 (Synchronous & Asynchronous Transmission) 내용 정리 (0) | 2021.01.26 |
[정보처리기능사]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 내용 요약 정리 (0) | 2021.01.26 |
[정보처리기능사] 에러 복구기법; 자동 재전송 방식(ARQ; Automatic Repeat reQuest)과 해밍코드(Hamming Code) (0) | 2021.0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