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 정보처리기능사 필기 과목 시험대비를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제1과목 전자계산기 일반의 주소지정에 관하여 최소한 알아 두어야 할 개념을 기록해 두었습니다.
개인적인 자격증 공부 기록용으로 작성한 글이기에,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1 접근 방식에 의한 주소 지정 방식
데이터 접근 방식에 따라서, 주소 지정 방식은 묵시적(Implied) , 즉시(Immediate), 직접(Direct), 간접(Indirect)방식으로 나뉩니다.
#1.1 묵시적 주소 지정 <Implied Addressing> (메모리 참조 횟수 : 0회)
주소 부분이 묵시적(암시적)으로 정해져 있는 방식으로, 주로 누산기(Accumulator)를 사용해 연산을 수행합니다.
스택(Stack) 구조의 0-주소 방식 입니다.
#1.2 즉시 주소 지정 <Immediate Addressing> (메모리 참조 횟수 : 0회)
명령어 주소 부분에 있는 값 자체가 실제의 데이터가 되는 방식으로, CPU의 참조가 없기에 속도가 빠릅니다.
단, 오퍼랜드 길이가 한정되어 실제 데이터의 길이에 제약을 받습니다.
#1.3 직접 주소 지정 <Direct Addressing> (메모리 참조 횟수 : 1회)
명령어 주소 부분에 있는 값이 실제 데이터가 있는 주기억 장치 내의 주소를 가리킵니다.
#1.4 간접 주소 지정 <Indirect Addressing> (메모리 참조 횟수 : 2회이상)
명령어의 주소 부분으로 지정한 기억 장소의 내용이 실제 데이터가 있는 곳의 주소로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2 계산에 의한 주소 지정 방식
데이터가 기억될 위치를 명렁어의 주소 부분에 있는 값과, 특정 레지스터에 기억된 값을 더하여 지정하는 방식으로, 약식 주소 표현방식에 해당하는 주소 지정 방식입니다.
① 상대 주소 지정 <Relative Addressing> 프로그램 카운터(PC) + 주소 부분의 값
② 인덱스 주소 지정 <Indexed Addressing> 인덱스 레지스터 값 + 주소 부분의 값
③ 베이스 주소 지정 <Base Addressing> 베이스 레지스터 값 + 주소 부분의 값
④ 색인 주소 지정 <Index Addressing> 순차적인 주소 지정 등에 유리하고, 주소 지정에 두개의 레지스터가 사용됩니다.
#3 실제 기억 장소와 연관성이 있는 주소 지정 방식
#3.1 절대 번지 <Absolute Address>
기억 장치 고유의 번지로서 0,1,2,3, ... 과 같이 16진수로 약속하여 순서대로 정해 놓은 번지 입니다.
(직접주소지정방식)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3.2 상대 번지 <Relative Address>
별도로 지정된 번지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나타내는 번지 입니다.
'Certificate > 정보처리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산 장치 (ALU; Arithmetic & Logic Unit) 정리 (0) | 2021.01.23 |
---|---|
[정보처리기능사] 컴퓨터의 음수 표현 방법 ; 부호와 절대치 / 부호와 1의 보수(1's Complement) / 부호와 2의 보수(2's Complement) 내용 정리 (0) | 2021.01.23 |
정보처리기능사 필기대비 제 2과목 패키지활용 ; 스프레드시트/프레젠테이션 내용정리 (0) | 2021.01.21 |
정보처리기능사 필기대비 제 2과목 패키지활용 ; SQL 명령어 종류정리 (0) | 2021.01.20 |
[논리회로] 순서 논리 회로와 플립플롭(Flip-Flop)의 종류 (RS/JK/D/T) (0) | 2021.0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