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 정보처리기능사 필기 과목 시험대비를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제 1과목 전자계산기 일반의 부호와 절대치 / 1의보수 / 2의보수에 관한 내용을 기록해 두었습니다.
개인적인 자격증 공부 기록용으로 작성한 글이기에,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보수(Complement)란?
컴퓨터는 "감산(뺄셈)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기에, 보수를 취한 후 가산하여 감산(뺄셈)의 결과를 얻습니다.
여기서 보수란, "양수에 대한 음의 값" 입니다. 예를들어, 3의 보수는 -3이고, 5의 보수는 -5 입니다.
컴퓨터가 보수를 구하는 방법은 3가지로 나뉩니다.
# 부호와 절대치(절대값) 방식
부호와 절대치 방식은 부호비트(sign bit)를 0에서 1 혹은, 1에서 0으로 바꾸어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sign bit 0 = 양수 1 = 음수)
-14를 예시로 들어 보겠습니다.
우선, 양수 값 '14'를 2진수 8비트로 나타냅니다. 00001110
그 후 가장 왼쪽의 부호 비트를 0에서 1로 바꿔 주기만 하면 됩니다.
이것이 부호와 절대치 방식 입니다.
# 부호와 1의 보수(1's Complement)
부호와 1의 보수를 취하는 방법은 '부호와 절대치' 방식에서 '부호비트(sign bit)'를 제외한 나머지 값들을 0은 1로 1은 0으로 바꾸어 주면 됩니다.
# 부호와 2의 보수(2's Complement)
부호와 2의 보수를 취하는 방법은 '1의 보수'의 값에서 1을 더해 주면 됩니다.
여담으로 보후와 2의 보수를 구하기 위해선, 이전의 방식을 모두 숙지하고 있어야 하기에 부호와 2의 보수를 구하는 유형이 자주 출제 된다고 합니다 :)
'Certificate > 정보처리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케줄링(Scheduling); 선점형(Preemitive)기법과 비선점형(Non-Preemptive)기법 차이점과 종류 (feat.에이징(Aging)기법) (0) | 2021.01.23 |
---|---|
연산 장치 (ALU; Arithmetic & Logic Unit) 정리 (0) | 2021.01.23 |
[정보처리기능사] 주소 지정방식의 종류 내용정리 (0) | 2021.01.22 |
정보처리기능사 필기대비 제 2과목 패키지활용 ; 스프레드시트/프레젠테이션 내용정리 (0) | 2021.01.21 |
정보처리기능사 필기대비 제 2과목 패키지활용 ; SQL 명령어 종류정리 (0) | 2021.0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