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DOS 개요 - DOS / DOS 시스템 파일 종류 / DOS 부팅 / CONFIG.SYS / AUTOEXEC.BAT / 만능문자
#1 DOS 명령어 - DOS 명령어 구분 / 디스크 관련 명령어(FDISK) / 디렉터리 관련 명령어 / 파일 관련 명령어(DIR/ATTRIB/TYPE) / 데이터 가공 관련 명령어 / 메모리 관련 명령어 및 프로그램
#0 DOS 개요
#DOS(Disk Operating System)
PC에서 디스크/파일 등을 관리하기 위한 운영체제로, 컴퓨터에게 명령을 내리는 CUI방식을 사용한다.
#DOS 시스템 파일 종류(f.I'M COM)
IO.SYS - MSDOS.SYS의 입출력 요구에 따라 입출력을 수행한다. (숨김파일)
MSDOS.SYS - 파일/메모리/프로세서/하드웨어 등 전체적인 관리를 담당한다. (숨김파일)
COMMAND.COM - 명령어 해석/처리 담당. (내부 명령어 포함)
#DOS 부팅(Booting) (f.I'M COCOA)
[종류] 콜드 부팅 : 하드웨어적 부팅. 컴퓨터 리셋 버튼 이용 , 웜 부팅 : 소프트웨어적 부팅. ctrl+art+delete key 이용
[순서] IO.SYS -> MSDOS.SYS -> CONFIG.SYS -> COMMAND.COM -> AUTOEX-EC.BAT
#CONFIG.SYS(환경 설정 파일)
도스 부팅시 필요한 시스템 환경(마우스,키보드 등 주변 장치) 혹은 기능을 설정하며, 동작 속도 향상을 위해, 버퍼/캐시를 설정 가능하다. 단, 부팅시 반드시 필요한 파일은 아니다.
또한, 반드시 루트 디렉터리에 존재 해야만 한다.
[중요한 환경 설정 명령]
FILES :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파일 수를 지정한다.
BUFFERS : 디스크 버퍼 수를 지정한다.
LASTDRIVE : 사용 가능한 드라이브의 최대 수를 지정한다.
DEVICE : 장치를 사용 하고자 할 때 장치 구동 프로그램을 설정한다.
Break = on : Ctrl + C 로 작업을 중지한다.
#AUTOEX-EC.BAT(자동 실행 배치 파일)
컴퓨터 부팅시 제일 먼저 자동으로 실행되는 자동 실행 배치 파일로, 루트 디렉터리에 존재 해야만 한다.
...F8 명령어를 통해서 , CONFIG.SYS 와 AUTOEX-EC.BAT 파일의 수행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실행한다.
#DOS에서 사용되는 만능문자(Wild Card Character) : *,?
* : 문자 전부를 대신한다. ex) *.xls 확장자가 xls인 모든 파일
? : 한 문자를 대신한다. ex) ??.* 확장자의 관계없이 파일명이 2자 이하인 파일
#1 DOS 명령어
#DOS 명령어 구분
DOS의 명령어는 내부 명령어와, 외부 명령어로 구분된다.
① 내부 명령어 : DOS 부팅시 COMMAND.COM이 실행될 때 주기억 장치에 머무르며, 키보드를 통해 명령이 입려되면 바로 실행된다. DIR 명령어로 파일 목록 확인이 불가능하고, 그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
② 외부 명령어 : 내부 명렁어에 비해서, 사용 횟수가 적고, 수행 속도가 느리며, 독립적 파일이 존재한다.
DIR 명령어로 파일의 목록 확인이 가능하다.
#디스크 관련 명령어
★★ FDISK 하드 디스크 파티션의 논리적 분할과 삭제 작업을 수행한다. (하드 디스크에만 사용 가능하다)
FORMAT 디스크에 데이터 저장이 가능하도록, 트랙과 섹터를 형성해 초기화 작업을 수행한다.
DISKCOPY 디스크 복사 기능. 원본 디스크의 내용을 다른 디스크로 복사한다.
CHDSK[CHeckDiSK] 디스크의 상태를 점검하고 손상된 부분을 복구해준다.
#디렉터리 관련 명령어
MD(Make Directory) 새로운 디렉터리를 생성하는 명령이다.
CD(Change Directory) 특정 디렉터리로 이동하는 명령이다.
RD(Remove Directory) 디렉터리를 삭제하는 명령이다.
DELTREE 디렉터리 안의 하위 디렉터리까지 모두 삭제하는 명령이다.
PATH 실행 파일의 경로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하고, 현재 설정된 경로를 보여주는 명령이다.
XCOPY (숨겨진 파일(Hidden) 및 시스템 파일 제외) 하위 디렉터리 내의 디렉터리 구조까지 복사하는 명령이다.
#파일 관련 명령어
★★ DIR(DIRectory) 디스크 내의 파일의 정보를 표시해 주는 내부 명령어이다.
사용법 : DIR [드라이브:][경로]파일명[/옵션]
[옵션]
/P(Pause) 한 화면씩 표시한다.
/W(Wide) 파일명과 확장자만 한 줄에 5개씩 표시한다.
/O(Order) 정렬 방식대로 표시한다.
/S(Subdirectory) 지정 디렉터리 및 하위 디렉터리 파일까지 모두 표시한다.
/A(All) 숨김 파일과 비숨김 파일들을 모두 표시한다.
[정렬 옵션]
/OD(Date) 날짜순으로 정렬한다.
/OE(Extension) 확장자의 알파벳순으로 정렬한다.
/ON(Name) 이름순으로 정렬한다.
/OS(Size) 크기순으로 정렬한다.
- 역순으로 정렬한다.
★★ ATTRIB(Attribute) 파일의 속성을 지정 및 해제하는 명령어이다.
사용법 : ATTRIB [+속성/-속성][드라이브:][경로]파일명 [/옵션] (+ : 속성설정 - : 속성해제)
[옵션]
R(Read Only) 읽기 전용 속성
A(Archive) 저장 기능 속성
S(System) 시스템 파일 속성
H(Hidden) 숨김 속성
ex) ATTRIB +H DB.BAT ; DB.BAT 파일에 숨김 속성을 부여한다.
★ TYPE 모든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표시하는 내부 명령어
와일드 카드 문자(*,?)는 사용이 불가능 하기에, 파일명과 확장자를 모두 표기해야 한다.
사용방법 : TYPE [드라이브:][경로]파일명
COPY 파일을 복사하는 내부 명령어
DEL 파일을 삭제할 때 사용하는 내부 명령어 ex) DEL A: *.* A드라이브의 모든 파일을 삭제한다.
REN(REName) 파일의 이름을 변경하는 데 사용하는 내부 명령어
#데이터 가공 관련 명령어
①필터 명령
SORT 내용을 이름순으로 정렬하고, 결과를 화면 or 파일 형태로 출력하는 외부 명령어
MORE 한 화면 단위로 내용을 출력해 주는 외부 명령어
FIND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파일에서 특정한 문자열을 검색하는 명령어
②리다이렉션 명령 : 출력 or 입력의 방향을 변경해 기존 파일에 내용을 추가하는 기능이다.
파일 이름 < 수행할 파일 ; 입력 방향 변경
수행할 파일 > 파일 이름 ; 출력 방향 변경
수행할 파일 >> 파일 이름 ; 기존 파일은 그대로 두고, 그 파일 뒤에 새로운 내용 추가
[리다이렉션 명령 예시] DOS>DIR>HELLO.TXT ; DOS 디렉터리 목록의 내용을 HELLO.TXT로 저장한다. (출력 방향을, 모니터가 아닌 HELLO.TXT로 변경한다.)
#메모리 관련 명령어/프로그램
MEM 시스템 메모리 사용 상태를 알 수 있는 명령이다.
HIMEM 연장 메모리(XMS)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명령이다.
EMM368 확장 메모리(EMS)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명령이다.
MEMMAKER 기본 메모리를 최대로 확보해 주는 메모리 최적화 프로그램이다.
RAMDRIVE RAM의 일부분을 드라이브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프로그램이다.
(대충 맞다 틀리다만 구분)
'Certificate > 정보처리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능사] 주소 지정방식의 종류 내용정리 (0) | 2021.01.22 |
---|---|
정보처리기능사 필기대비 제 2과목 패키지활용 ; 스프레드시트/프레젠테이션 내용정리 (0) | 2021.01.21 |
정보처리기능사 필기대비 제 2과목 패키지활용 ; SQL 명령어 종류정리 (0) | 2021.01.20 |
[논리회로] 순서 논리 회로와 플립플롭(Flip-Flop)의 종류 (RS/JK/D/T) (0) | 2021.01.20 |
정보처리기능사 제 3과목 PC 운영체제 ; Windows 총정리 (0) | 2021.01.19 |
댓글